경사노위 탈퇴 여부, 집행부에 일임
최근 한국노총 간부들이 경찰의 강경 진압에 연행되면서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던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동명)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대화 참여 중단을 선언했다.
7일 한국노총 광양지역지부 2층 회의실에서 '제100차 긴급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한국노총은 "이 시간 이후로 진행되는 모든 경사노위 대화기구에 전면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은 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서 "지난달 31일 경찰이 망루 농성 중인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을 강경 진압한 것은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노동계에 대한 강력한 탄압"이라고 규정한 후, "한국노총은 전 조직적으로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노총 전 조직은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에 나설 것을 오늘 결의했다"며 "정부 심판 투쟁의 일환으로 경사노위의 모든 대화기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의 경사노위 탈퇴 여부와 관련, 집행부에 일임하기로 했다. 이 대변인은 "탈퇴 시기·방법은 집행부에 일임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면서 "공식적인 발표는 8일 오전 대통령실 앞에서 위원장과 집행부가 참여한 가운데 진행할 것이다"고 전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오늘 위원회가 열리는 이곳 '광양'은 김만재 위원장이 짓밟히고 김진영 사무처장이 유혈 진압된 곳"이라며 "폭력 사태는 윤석열 정권의 뿌리 깊은 노동 혐오가 숨어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런 상황에서 어떤 노동조합이 제대로 된 임단협을 하고 제대로 된 투쟁을 할 수 있겠느냐"며 "여기서 미흡하게 대처하거나 물러난다면 제3의 광양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국노총은 150만명의 조합원을 지키고 2500만명의 노동자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포스코는 400일이 넘는 동안의 사회적 합의 이행을 위해 투쟁하는 것을 중재하지 않고 방관했다"고 비판했다.
한국노총은 박근혜 정부 시절, 2016년 1월 근로시간 단축 등을 골자로 한 일명 '9·15 노사정 대타협' 파기를 선언하고 노사정위 논의에 불참한 바 있다. 이후 2018년 문재인 정부서 경사노위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이에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