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지난 4월 1일 창립 55주년을 맞이했다. 예전 같으면 지역 경제단체가 중심이 되어 여기저기 창립 축하 현수막이나 포스코 직원 사기 진작 캠페인 등이 열렸지만 올해는 창립일을 맞이했는지도 모를 정도로 조용히 넘어갔다. 지난 1년 동안 포스코홀딩스 포항 본사 이전, 광양지역 상생협력 진행 지지부진, 광양제철소 환경 문제를 비롯해 각종 사건사고 등이 응축된 결과로 보인다.
실제 포스코 창립일인 4월 1일을 기준으로 14일 현재까지 40여일 남짓 동안 우리지역에 쏟아진 포스코 지역상생협력 방안과 관련된 소식은 온통 실망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포스코홀딩스 포항 본사 이전 확정⟶전남도 입장 발표(3월 21일) : 포스코 계열사 전남 이전, 광양상생협력 방안 마련 촉구 △광양참여연대 성명 발표(3월 21일) : 포스코홀딩스, 광양상생협력 요구 즉각 수용 △KBS 광양제철소 원료부두 ‘철광석 빗물’ 유출 연속보도⟶광양환경운동연합 성명 발표(3월 24일) : 해양 오염사고 대책 마련 및 사과 촉구
△포스코, 포항과 광양에 기계·전기 분야 정비전문 자회사를 설립 발표(3월 21일)⟶ 포스코 사내하청지회·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기자회견 : 자회사 설립 중단, 모든 사내하청 노동자 정규직으로 전환 주장(3월 27일)
△광양시 입장 발표 : 포스코퓨처엠 본사 광양 이전, 정비 자회사 설립 반대(3월 29일) △광양시의회 성명 발표 : 상생협의회 적극 동참 및 방안 마련, 미래 신사업 광양 투자(4월 3일) △광양시의회 기자회견 : 포스코 지역상생협력 촉구, 광양제철소본부 앞 집회(4월 12일) △정회기 의원 5분 발언 : 광양시민에게 신뢰받는 포스코가 되길 등이다. 여기에 최근 광양제철소 직원들 사이에 흉기를 휘두르는 불미스러운 사건도 발생하면서 포스코는 더욱더 입지가 좁아졌다.
지역에서 포스코에 대응하는 사례를 보면 과거와 사뭇 다른점이 있다. 바로 전남도, 광양시, 광양시의회 등 기관이 공식적으로 대응했다는 점이다. 광양시가 포스코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발표하고 광양시의회는 성명 발표와 함께 야외투쟁을 통해 포스코에 강도높게 대응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이처럼 기관들이 포스코를 대응하는 기류가 바뀐 것은 주목할 만하다
광양시는 수십 년 동안 ‘우리 광양시, 우리 포스코’ 기조를 유지한 채, 되도록 포스코에 대한 비판 보다는 감싸안으려 했다. 광양제철소에서 여러 사고가 발생하고 환경문제가 대두됐을 때마다 투쟁의 몫은 시민사회단체와 시민들이었다. 지난 수십년 동안 포스코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할때마다 광양시장들이 포스코 관계자를 불러 공식적으로 문제 제기하고 질책한 사례는 볼수 없었다.
이처럼 기관들이 움직이는데는 지난 1년 동안 포스코 상생협의회가 단 한 발짝도 진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12월 상생협의회 3차 TF 회의를 취재하면서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지역에서 포스코에 제시한 각종 합의안 중 핵심 사안인 포스코퓨처엠 본사 이전, 광양에 이차전지, 수소 관련 사업 신규법인 설립 시 본사 소재지는 광양에 두자는 안건에 대해 포스코 측은 일말의 여지 없이 “NO”라고 분명히 했다.
다른 안건에 대해서도 검토 또는 공감한다는 대답일 뿐 어느 것 하나 확실하게 수용하겠다는 답은 없었다. 3차 회의를 취재하면서 포스코의 눈에 비친 광양시의 위상과 현실이 얼마나 초라한지 느낄 수 있었다. 과연 포스코는 포항시와 광양시를 동일선상에서 인식하고 배려하고 있을까.
정회기 의원은 13일 제317회 광양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지난 40여년 동안 광양제철소가 광양시와 시민들에게 상처를 준 사례를 여러 가지 언급했다. 100% 포스코 잘못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상당수 수긍이 가는 지적이다. 정 의원은 5분발언 말미에 ‘기업시민’ 포스코가 아닌, ‘시민기업’ 포스코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양시민들이 포스코라는 기업의 시민도 아닐뿐더러 포스코가 시민의 기업이 되어 상생협력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제 곧 상생협력회의 TF 4차 회의가 열릴 것이다. 지난 1년 동안 서로 간 입장을 확인했다면 이제는 하나둘씩 결론를 내리고 성과를 내야 한다.
포스코는 말할 것도 없고, 광양시와 의회가 좀더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TF팀에 참여하는 시민단체나 경제단체가 각종 사안을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다가올 4차 회의에는 한단계 더 진전해 15만 광양시민들이 좀더 납득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길 기대한다.